신강한 계유일주입니다. 금수기운이 강한 사주가 되는데 무토 정관이 있네요. 월간 무토 정관은 힘이 없는 편이고 신강한 계수가 무계합을 주도하며 무토를 농락할 수 있습니다. 금수기운이 강하니 냉철하고 이지적인 속내를 가집니다.


* 시(時)는 추정하였다.


삼주만 보면 금수기운이 강한 사주인데 종격이 될 것인가가 역시 문제될 것입니다. 종격이라기엔 무토 정관이 거슬리지만 무토정관이 합으로 묶이고 근이 없어 약하니 삼주는 일단 금수로 종했다고 봅니다. 시에 뭐가 오냐에 따라 좀 달라질 것이고 역시 대운을 보고 유추하는 수 밖에는 없겠네요.


지금 진토대운이고 이 사주 진토가 들어오면 신자진 수국 됩니다. 그러면 지금 임진대운을 완전 수 대운으로 보는 것이죠. 신자진 수국이 되고 임진의 임수 겁재가 들어와 수기를 강력하게 형성하는 대운이 됩니다. 2014년에 임진대운을 맞았고 그쯤해서 왕성한 활동을 보여주니 지금 수 대운이 좋은 것이 되네요. 그렇다면 이사주 역시 종격으로 들어갑니다.


금수기운으로 종한 것인데 사주의 날씨가 너무 춥습니다. 병화 하나 정도 오면 좋을 것이고요, 병화가 온다 가정하면 병진시가 되는데 병진시가 되면 진유합금이 됩니다. 지지는 금으로 깔리고 병화가 따뜻하게 조후를 조절해주게 됩니다. 만약 병진시가 된다면 진토 속의 을목식신을 쓰게 될 수도 있겠네요. 시에 조후조절의 병화가 없다면 아예 궁합에서 병화를 반길 수도 있겠습니다. 강하지 않은 약한 병화를 반깁니다. 신강한 병화는 금수종격사주에서 오히려 부담스럽습니다. 약한 병화라도 온기공급은 충분하니 좋습니다. 차가운 사주가 병화의 적절한 조후조절을 받으면 마음이 안정되고 병화의 인기에 편승하게 됩니다.


금수종격에서 식상으로는 갑을목 정도 반깁니다. 이 사주에 갑목이 온다고 가정하면 갑인시가 됩니다. 갑인시가 되면 인유원진에 너무 강한 상관이 되어 종격의 격이 떨어집니다. 갑인시는 아닐 것으로 보고 을묘시 역시 강한 식신이라 부담스럽습니다. 또 묘유충되고요. 종격에서 강한 식상은 별로 좋지 않습니다. 아무튼 시에는 조후조절용 병화 정도 반기고, 강하지는 않지만 나이스한 식상 하나 정도 오는 것이 좋습니다. 2대운 3대운에서 인목과 묘목 식상운을 지나왔는데 아예 원국에서는 무식상일 가능성이 있고, 병진시가 되어 진토 속의 을목을 쓰는 구조가 될 수도 있습니다. 시를 모르니 여러 가능성을 말하는 겁니다.


비겁으로 종한 사주가 원국에 드러난 식상이 없으면 대운에서 강한 식상을 보는 것은 오히려 좋지 않고 세운에서 약하게 갑목이나 을목정도 보는 것이 좋습니다. 지지에 식상이 깔리는 것은 좋지 않고요, 이 사주의 경우 더욱이 인목이나 묘목이 들어오면 인유원진, 묘유충 등 지지가 시끄러워집니다. 이사주는 천간에 갑을목 정도 약하게 보는 시기가 오히려 왕성한 활동력을 보장합니다.


2014년부터 갑오, 을미, 병신 등을 지나왔는데 갑, 을, 병이 강하지 않게 들어오는 세운이었죠. 을미의 을목은 조금 강한 형태가 되지만요. 약하게 들어오는 병화는 조후조절로 딱입니다. 무술은 좀 피해야 할 것이고요. 대운은 당연히 금수대운이 좋은데 이사주 지금 임진대운이 피크입니다. 묘하게 신자진이 되는 것이 나이스하네요. 만약 계축시 정도 구성된다면 다음 계사대운에 사유축 금국이 되어 역시 좋은데 시를 모르니 정확하지 않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