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토는 겨울의 토(土)로 음(陰)기운이 왕한 상태이다.
-축시(丑時)는 음기운이 깊어 숙면에 든 상태
-축월은 음력 섣달, 12월을 뜻한다.
-일년 중 냉기가 땅 속 깊이 파고 드는 때로 축월(丑月)이 되면, 양(陽)이 하나 더 생겨 2양4음이 된다.
-음기운이 월등해 추워 밖으로는 드러나지 않지만, 내부적으로는 양기의 움직임이 활발해진다.
-음기가 강해 꽁꽁 얼어붙었으므로, 목(木)이 좋아하지 않는 흙이다. 따라서 화(火)기운이 매우 필요하다.
-음기운으로 토생금을 잘 하고, 화생토의 특성으로 화기운을 잘 설기한다.
-태아가 자라는 동안, 어머니는 자신의 모든 것을 아낌없이 주고, 태아가 탄생해서도 역시 희생한다.
-해(亥)에서 잉태된 생명의 기운은 자(子)에서 길러지고, 축(丑)은 생명이 성숙해서 곧 탄생하려는 기운을 품고 있다.
-씨앗이 싹을 터뜨리려는 모습이고, 만삭의 모태에서 아이가 모습을 드러내려 하는 것이다.
-또한 우직한 소처럼 고집이 세고 근면성실한면도 있으며 침착하고 내성적이며 속으로 강하며 속마음을 잘 드러내지 않으려하는 경향도 있다.
-丑은 태어나기 직전이므로 왕성한 힘과 굳은 의지가 있으면서, 감성적인 면도 함께 가지고 있다.
-시간으로 축시는 새벽 1시 30분부터 3시 30분까지이다. 계절로는 겨울, 방위로는 북쪽을 의미한다.
-겨울의 水기운을 거두어 들이고 봄을 여는 탄생의 흙이다. 생명의 탄생을 위한 丑은 고통과 힘든 과정이 따른다. 희생의 아이콘이다.
-축토의 성정은 부지런하고 순하다. 희생, 봉사하며 산다고 한다. 그러니 집안을 책임지는 사람도 많다. 장남이나 장남같은 역할을 하는 경우도 많다.
-세속적인 면과 산 중에 은거하고 싶은 도인적 성품을 함께 엿보인다.
-계절에 따라 토의 특성은 큰 차이를 보인다.
-엄동설한을 버텨내려는 압축된 힘이 모아져서 어두운곳이나 축축하고 찬성분이 강하며 인내, 뚝심, 참을성을 내포하여 주로 정신적 세계나 종교신앙과 밀접하다.
-땅의 형태가 쓰임이 좋은상태가 아니라서 축토를 가지고 있으면 주로 알뜰하고 보수적이며 궁성에 따라 그러한 육친의 모습을 가지고 있다.
-辰토는 봄이며 木의 土요, 丑은 겨울로 水의 토이다.
-未는 여름이며 火의 土요, 戌은 가을이며 金의 특성을 보인다.
-축토는 겨울의 동토이다. 오행 중 토의 속성은 저장한다는 의미를 가지는데 겨울의 토는 봄에 뿌릴 씨앗을 저장하고 있다.
-년지가 축이면 소띠인데 소는 일반적으로 부지런하다.
-월지가 축이면 추운 달에 태어났으므로 사주팔자 중 다른 곳에 따뜻한 간지가 필요하다.
이것은 태어난 후 세상에서 부지런히 일하며 욕망을 채우려는 성정과 함께 고통스러운 삶에 대한 고뇌도 존재하기 때문이다.
소는 평생 인간을 위해 노동과 희생, 봉사를 하고 죽어서도 모든 것을 제공한다.
오행으로 볼 때, 토는 모두 같지만, 辰戌丑未, 토의 성정을 면밀히 보면 모두 다른 종류의 흙이기도 하다.
-축토도 자수와 마찬가지로 밤중에 태어나서 야행성이 많다.
-토의 특성은 원래 속마음을 잘 안 드러낸다.
-축토는 水기운도 함께 하니, 속마음을 드러내지 않는 사람이다.
-토이니 보수적이고 소처럼 듬직하다.
-근면하고 인내심이 강하고 희생정신이 강하다.
-수(水)의 성정을 따라 수집하기를 좋아한다.
-丑를 가지고 있으면 곡각형태라 자궁,관절,허리에 문제가 있다. 분석쪽에서 많이 쓰인다
丑과 子 : 육합인데 물의 쓰임이 잘쓰여지긴 어렵다.
丑과 午 : 원진, 원망
丑과 巳 : 사화는 축의 쓰임을 좋게해주니 축토는 사화가 반갑다.
자수는 지장간을 2개를 가졌지만 축토는 지장간을 3개나 가지고 있다. 축토의 지장간은 계(癸), 신(辛), 기(己)이다. 축토에는 계(癸)의 옹달샘과 신(辛)의 금속과 기(己)의 옥토라는 속성을 다 갖고 있다. 축토 안에 물과 쇠와 흙이라는 오행 중 3가지를 가지고 있는 셈이다. 이들이 각각 영향을 미치는 비율은 전체를 30이라고 한다면, 이중 癸가 9, 辛이 3, 己가 18이다. 즉 癸辛己가 혼합된 것으로 보면 된다. 따라서 축은 지장간에서 제일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己토가 대표선수다.
사주에 있어서
1. 년지(年支)에 축토가 있으면 소띠다.
2. 월지(月支)에 축토가 있으면 겨울에 태어난 사람이다.
소한(小寒, 1월 4, 5, 6일)에서부터 입춘(立春, 2월 4,5일)전까지 태어난 사람의 월지가 축토다. 사주에 있어 일간 다음으로 중요한 것이 월지인데 일단 월지가 축토인 사람은 추운 겨울에 태어났으므로 ‘따뜻한 목이나 화가 필요하겠구나’ 라고 생각하면 된다.
3. 일지(日支)가 축토인 경우
일지는 궁합을 볼 때 가장 많이 활용하는 부분이라고 앞에서 밝혔다. 연지(年支)인 띠를 갖고 궁합을 보는 것보다 훨씬 정확도가 높은 것이 바로 일지다. 이것을 꼭 기억해 두면 좋다. 일간은 본인이고 일지는 배우자이다.
일지가 축토인 사람은 일지가 자(子)수나, 유(酉)금인 사람과 속궁합이 맞다. 일간의 궁합이 겉궁합이라면 일지는 속궁합이다. 일반적으로 겉궁합은 가치관, 이상 등 정신적인 요소를 보는 것이다. 속궁합은 성적인 궁합을 뜻한다. 이 둘이 다 맞는 것이 제일 이상적이지만, 이중 하나만 맞아도 그런대로 무난하게 살게 된다.
일지가 미(未)인 사람과는 丑未 충(沖, 충돌, 부딪치다) 되므로 궁합이 안 맞다.
4. 시지(時支)가 축토인 경우
밤 1시부터 3시 사이에 태어난 사람이다(동경 135도 기준). 이처럼 월지나 시지가 축토인 사람은 야행성일 가능성이 많다. 특히 월지와 시지가 모두 축토일 경우는 야행성일 확률이 훨씬 높아진다.
축토의 직업
건재, 자재건축, 소, 포장지, 냉동, 종교, 농장, 매립지, 교량, 구두쇠, 은행, 세무서, 결혼상담소, 과수원, 숙박업, 건물임대업, 요식업금고, 석탄, 터널, 창고, 열쇠, 반지, 미용한약재, 묘지, 지하실, 창고, 절,교회, 도자기, 농기계, 군부대, 정육점, 숙박업, 임대, 전당포, 주방, 창고, 주차장, 정류장, 절ㆍ교회, 보석, 광산, 증권사, 보험, 군부대, 유리, 도자기, 부동산 관련
'역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살론] 각종 사주신살 간단정리 (0) | 2018.07.20 |
---|---|
[일주론] 갑자일주(甲子日柱) (0) | 2018.07.20 |
사주 유금 기본편 (0) | 2018.07.20 |
사주 술토 기본편 (0) | 2018.07.20 |
[사주용어] 오행의 과다 (0) | 2018.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