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토(陽土), 개, 한로(절입일시), 상강, 서북서, 만추, 숫자 5, 황색, 오음일양(五陰一陽)
- 아홉 번째에 해당하여 죽음의 문턱에 섬(아홉수), 을씨년, 초겨울, 황량, 정지, 휴식, 보관, 정리, 무덤, 고독의 상징, 사색, 고집, 집착, 무표정, 충성심, 한길
- 투박함, 어눌함, 자기본위적, 인내심, 막무가내, 아집 강함, 주색에 강함, 구두쇠, 다소 주책, 엉뚱한 행동, 무례, 뒤끝이 없고 분위기에 영합, 성실함, 두루뭉술한 성격, 주변 의식 않고 일을 벌이나 수습을 잘 못해 비난, 주변 환경을 탓하지 않고 묵묵히 업무 수행, 답답할 정도로 느리고 서두루지 않음 , 여명은 인정이 있고 싹싹하나 이성에 민감하게 반응
- 천문술예(天門戌藝)를 놓아 종교 및 철학 등에 관심이 많고, 자신만의 독특한 정신세계를 추구하며 생각이 많은 유행이기 쉬운데, 이는 술토(戌土)가 신의 세계로 가는 길목이기 때문에 지지에 술토가 중중한 사람은 철학 역학에 관심이 많고 종교 신앙과 연계한 삶을 추구함
- 개(戌)는 창과(戈)를 놓아 가정을 잘 지킬 뿐만 아니라 호구지책에 강한 편이지만, 창의 자형으로 언쟁 및 수술수가 따름
- 영특하여 분별력은 좋지만 부끄러움을 모르는 특성으로 술일생은 뻔뻔하고 얼굴이 두꺼운 편임
- 술토는 오음일양에 화의 고장지로서 화근인 양기를 감추고 스스로 침잠의 길로 가야 함을 암시
- 천간의 무토(戊)와 비교, 고산준령(高山峻嶺), 술(酒)과 술(戌), 아홉수, 천예, 천문
- 위, 배, 가슴, 풍사, 폐, 갈비, 넓적다리, 항문
- 술위소원, 술예성, 아수라도
- 예술, 공예, 군검경, 경리회계, 종교, 정치, 대형음식점
술토의 특성
-술토는 양의 기운을 가진 흙입니다.
-술토는 바위를 간직하고 건조한 큰 산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색을 밝히거나 재물에 대한 욕심이 남다르기도 합니다.
-선악에 대해 논하기를 좋아하는 타입입니다.
-솔직 담백한 성격이나 직선적인 어투로 감정을 사기도 합니다.
-사람을 좋아하고 여럿이 모이는 동창회나 계모임 등을 즐기는 타입입니다.
술토 지장간
-여기
여기는 초기라고도 하며, 지난달의 남은 기운을 말합니다.
신금(辛) - 지난 달의 기운으로 씨앗을 저장하는 고지가 됩니다.
-중기
이 달의 본기로 가기 위한 중간 기운입니다.
정화(丁) - 중기는 정화로 여름을 갈무리 합니다.
-정기
이 달의 중심되는 기운을 나타냅니다.
무토(戊) - 태산과 같은 큰 산이 기본 성격입니다
술토가 뜻하는 것
-방위 : 서북방향
-절기 : 한로 - 이때부터 찬이슬이 내린다고 봅니다.
-계절 :가을이 마무리되는 시점이기도 합니다.
-월 : 음역 9월
-시간 : 저녁 7시 30분 - 9시 29분
-색상 : 황색
-숫자 : 선천수 5, 후천수 5
-동물 : 개
개는 음량이 크고 충성심과 의리가 강합니다.
책임감 또한 투철해 목숨으로 자신이 맡은 바 직분을 다하려고 합니다.
개는 유순하면서도 사나움이 내포되어 자기 통제가 절실합니다.
-목오행
술월의 목오행은 휴식의 시간입니다.
-화오행
술월의 화오행은 창고속에 갈무리 되는 시간으로, 더 이상 활동할 시기가 못됩니다.
-토오행
술월의 토오행은 아직은 얼어붙지 않은 계절이라 어느정도 활동의 여력이 있습니다.
-금오행
술월의 금오행은 토오행의 생조까지 받아 왕성한 기운을 발합니다.
-수오행
술월의 수오행은 어느 정도 힘을 받아 생기를 회복하는 시기입니다.
술토의 건강
-체질은 강하나 성격이 과격한 경우가 많아, 고혈압이나 중풍으로 시달리기도 합니다.
-시력이 약한 사람이 많은 편으로 목디스크나 두통에도 약합니다.
술토의 직업
-고집이 세고, 청렴결백하며 자기 주장이 강합니다.
-술토는 옳다고 여기는 일에는 헌신적이고 끈기가 있습니다.
-심리적으로 걱정을 만들어 사는 편이 강하며 사교술이 서툽니다.
-목소리를 이용한 아나운서나 성우 강사, 상인이나 통역 등도 좋습니다.
-직업적으로는 판사, 검사, 변호사 등 법조계나 경찰, 군인 등.
-공무원이나 교사, 판매원, 회사원 등도 적성에 맞습니다.
'역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주론] 갑자일주(甲子日柱) (0) | 2018.07.20 |
---|---|
사주 유금 기본편 (0) | 2018.07.20 |
[사주용어] 오행의 과다 (0) | 2018.07.20 |
[12운성] 사주 목욕지 기초 (0) | 2018.07.20 |
[사주천간론] 갑목 특성과 성격 (0) | 2018.07.20 |